2010년 5월 6일 오후3시경 지나가다 진도 남도석성에 들렸다. 벌써 20여일이 지났네.. 바쁜건지 게으른건지

작지만 아름다운 진도석성의 풍경. 평일이라 나 혼자만 있었는데  차 2대가 도착하더니 2가족이 구경을 나왔다. 집에 두고온 가족들이

절로 생각난다. 가족들과 저렇게 여유있는 시간을 가진 날이 언제였던가? 앞으로 몇번이나 남았을까? 

 남도석성 안내문..진도에는 삼별초와 관련된 두개의 성이 있다. 용장산성과 남도석성이다. 삼별초는 몽고군과 강화도에서 싸우다 패퇴하여

진도로 항쟁지를 옮기는 데 처음 자리를 잡은 곳이 용장산성(용장산성은 진도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이곳에서 고려 원종의 6촌인 승화후 온을 임금으로 옹립하고 본격적인 대몽항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고려와 몽고의 연합군에게 패하고 피란을 하게 된다.

이때 왕으로 추대했던 승화후 온(왕온)은 도망가다 무참하게 죽임을 당한다. 왕온의 무덤은 진도읍에서 운림산방가는 고갯길에 초라하게

있고 궁녀들이 빠져 죽었다는 연못이 근처에 있는데 지금은 대부분이 매립되어 조그만 연못으로만 남아있다(아쉽게도 사진을 찍어오지 못했

으니 다음 용장산성 소개할 때 같이 소개하겠습니다)

 

용장산성에서 패퇴한 삼별초군이 자리를 옮긴 곳이 진도석성(진도석성은 진도의 동남쪽에 위치) 근처에 배중손 장군의 사당이 있다.

이곳에서도 패한 삼별초군은 제주도로 다시 항쟁의 길을 떠나게 된다.

 진도석성은 평지에 돌을 쌓아 만든 조그마한 석성이다.

만호는  조선시대 지방행정관 직책이다. 萬(일만)戶(가구) 즉 일만가구의 최고책임자... 그러면 한 가구에 3-4인이라 하면 이 지역에 3-4만명의 주민들이 거주했다는 것인가???? 하여간 그 만호들이 주민들을 위해 많은 공덕을 쌓았다는 공덕비다.

 

원래는 해당 지방관이 떠난 뒤 그 공덕을 잊지 못하는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모금을 해서 세우는 것인데 모진 탐관오리는 자기 임기동안 주민들을 닥달해서 또는 공금을 착복해서 세우는 경우도 있었다고... 이 탐관오리의 전통이 최근까지 전별금이라는 이름으로 내려오고 있는 것은 아닌지? 탐관오리의 유전자도 후손에게 꿋꿋히 전해오고....공덕비중 어느 것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세우고 어느 것이 자기 손으로 세웠을까??? 그 후손은 어디에서 전별금을 받고 있을까?

 석성 사이로 보이는 민가의 모습.. 석성안에는 마을이 있고 주민들이 살고있다. 남도석성은 역사책의 한페이지가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다.

문화재청에서 진도석성을 복원하려고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있으며  몇집은 이미 헐어서 빈집터가 곧곧에 있다. 석성 안에 주민들이 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고 조선시대에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려고 세웠다는 석성의 유래를 볼 때 주민들이 살고있는 마을 주위에 석성을 쌓은 듯... 그렇다면 주민 이주는 복원인가? 파괴인가? 빈집터에는 유물이 발견되었으니 임의로 파면 안된다는 안내문이....

주민들은 저 바위산 아래에 이주단지를 만들어 살 정이라고 한다.  산 아래에 보이는 것이 새로 조성될 마을부지이며 한옥으로 짓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한다. 국비와 도/군비에서 지원을 하므로 주민들은 일반 양옥집 짓는 수준의 부담으로 한옥을 지을 수 있다고...

 

주민들에 따르면 이 지역은 온통 바윗 덩어리라고 한다. 농사짓는 표면의 땅만 흙이고 조금만 파면 바위라고.. 한 가지 의문은 석성을

쌓는 것 보다는 저 뒷산을 활용해 산성을 쌓았으면 적들의 침입에 더 효과적으로 방어를 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뒷산은

높지 않지만 보이는 것보다 꽤 험한 산이다. 여몽연합군에 쫒기는 입장에서 새로운 성을 쌓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성을 활용했으리라

 정겨운 석성.. 감나무에서 막 돋아나온 잎이 싱그럽다. 이잎을 따서 감잎차를 만들기도 한다.

 소박한 텃밭과 감나무 잎이 잘 어울리는 듯.. 저 텃밭은 주인 아주머니의 반찬가게일텐데

 완두콩이 벌써 활짝 꽃을 피웠다. 따뜻한 남쪽나라라는 실감이 ..

 

 이것은 뭔 꽃인고? 담장에 흐드러지게 피어있네

 석성안의 개울

 골목길 풍경

 돌 담이 이쁘다. 이 이쁜 돌담도 없어지겠지... 저 돌담을 우리 집으로 옮기고 싶다는 욕심을 내 본다

 이 정겨운 풍경도 곧 사라질 것이다. 이 석성안에는 기념관이니 하는 전통건물을 가장한 현대식 건물이 자리를 잡고.. 주민들도 이 낡은 집을 떠나 이주단지에서 고래등 같은 기와집을 짓고 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풍경을 잊게 될 것이다.

 

용인해바라기마을 진도자연의선물농장

13년만에 가장 하늘이 깨끗하던 날(2010년 5월 26일 오후2시) 파란 하늘에 둥실 떠가는 흰 구름이 어릴적 고향집에서 보던 풍경같다.

미류나무 잎이 바람에 흔들려 쏴--하는 소리를 내고, 매미가 정겹게 울어대고, 소방서에서 치는 정오를 알리는 종소리가 들려오는 듯

"정오 뉴스를 말씀 드리겠습니다"라고 라디오에서 나오는 아나운서 목소리에 졸음이 살살

 

 3일째 비내리는 정원(2010.5.24) 공사중이라 어수선하다. 빨리 마쳐야 하는데 틈틈히 하려니 진도가 안나가네

 시장에서 사온 모종들(피망, 가지, 청양고추, 토마토, 방울토마토)

 모종들을 심고(2010.5.24) 지지대를 만들어 줬는데 어설프네 ㅎㅎ 시간날때 제대로 해야지.. 다행히 비가 계속 내리니 새로운 땅에

모종들도 저 잘 적응할 수 있을 듯

 용인해바라기마을 교육농장 내맘대로 정원가꾸기

'즐거운 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교육  (0) 2010.06.30
가마솥 길들이기  (0) 2010.06.07
고추와 고구마 심기  (0) 2010.05.23
고구마 심기  (0) 2010.05.19
농사준비  (0) 2010.05.10

어제(5월 22일 토요일)부터 단비가 내린다. 오늘(5월 23일 일요일)고구마를 심기로 했다. 시내 종묘사에서 모종을 샀다. 3일 연휴에

비까지 내리니 모종 심기에는 최적의 기간... 용인시장에 차들이 혼잡하다.

 

오늘 심을 고추모종. 매운 청양고추 118개(12,000원), 안매운 보통 고추 72개(12,000원) 

 밤고구마 2단(10,000원) 호박고구마 2단(12,000원)  모종도 호박고구마가 약간 비싸다.

 묘판에 들어있는 모종은 잘 뽑히지 않는다. 무리해서 뽑다가 모종이 부러지거나 뿌리를 다치기 쉽다. 물에 한 번 담갔다 꺼내면 쉽게 빠진다.

 어느 것이 호박고구마이고 어느 것이 밤고구마 일까요?

 왼쪽(잎 전체가 푸른색)이 밤고구마, 오른쪽(자주색 잎이 들어있는 것)이 호박고구마

 

오늘의 지원군은 둘째 여동생... 근처에 산다는 이유로 어머니가 지원명령을 내렸는데.. 기대이상으로 일을 잘하네 ㅎㅎ 자세가 나온다..

뒷편의 공사장은 영동고속도로 확장공사 중.. 빨리 끝나야 농로를 낼텐데..

 

고구마 심을 자리에 일단 고구마 순을 던져 놓고 심으니 생각보다 빨리 끝나네

 

비가 많이 내려 물이 고인데가 많네... 물꼬 터 주느라 한동안 씨름을 하고..

오늘은 여동생이 도와줘서 생각보다 쉽게 끝났다. 부슬부슬 비가 내리니 땡볕에서 일하는 것 보다 시원해서 좋고.. 내일까지 비가

온다니 고구마 고추들도 잘 자라겠다.. 다음은 고추가 바람에 쓰러지지 않게 고추지지대로 세우고 끈으로 묶어주면 바쁜 일은 마칠 듯.

 

봄농사일의 5분지 4는 마친듯. 잘하려면 끝에 없는 것이 농사일이지만 ...

'즐거운 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마솥 길들이기  (0) 2010.06.07
내 맘대로 정원가꾸기(1)  (0) 2010.05.27
고구마 심기  (0) 2010.05.19
농사준비  (0) 2010.05.10
e-Business과정 참가하다  (0) 2010.01.13

 농사를 몸으로 짓는 시대는 지나고  머리를 써야 하는 시대입니다.  농부발명왕.. 대단한 분이죠.. 특허나 실용신안 신청하셔서

로열티 많이 받으세요 ㅎㅎ

 

 

 용인해바라기마을 교육농장

KBS대기획 농업강소국,희망의조건 다큐멘터리6부작.3부.소비자의 선택,안전한 식탁.081113

안전한 식탁 믿을 수 있는 농가

 

 

용인해바라기마을 교육농장  안전한 식탁

 

KBS대기획 농업강소국,희망의조건 다큐멘터리6부작.3부.소비자의 선택,안전한 식탁.081113

 

로컬푸드조합, 복합농업 

 

 

 

용인해바라기마을 교육농장

 

KBS대기획 농업강소국,희망의조건 다큐멘터리6부작.3부.소비자의 선택,안전한 식탁.081113

 

소비자 참여형 농업((CSA)

 

 

 

용인해바라기마을

 

KBS대기획 농업강소국,희망의조건 다큐멘터리6부작.3부.소비자의 선택,안전한 식탁.081113

 

로컬푸드-생산자를 아는 먹거리

 

 

 

 용인해바라기마을 교육농장

SBS 뉴스추적.E526.도시를 떠난 사람들 - 2009 新귀농 보고서.090825

 

귀촌성공사례-소박하게 귀촌하기

 

 

 용인해바라기마을 교육농장

 

뉴스추적.E526.도시를 떠난 사람들 - 2009 新귀농 보고서.090825

 

귀농실패사례

 

 

 용인해바라기마을 교육농장

+ Recent posts